![]() |
글, 사진 : 아침편지가족 조송희님
|
![]() '깊은산속 옹달샘'의 이른 아침, 자욱하던 안개가 봄비로 내리기 시작했습니다. 대지의 생명을 깨우는 단비에 옹달샘의 장독대도 촉촉하게 젖었습니다. ![]() 날이 개면서 옹달샘 생명음식을 만드는 '나눔의집' 식구들의 손길도 바빠졌습니다. 겨우내 묵혀 두었던 장독대를 깨끗이 닦아내고 싱싱한 봄나물로 장아찌를 담는 날이기 때문입니다. ![]() 오늘은 민들레·냉이·취나물로 장아찌를 만드는 날입니다. 고도원님의 아내인 강은주님과 '나눔의집' 식구들이 옹달샘 인근의 숲과 들에서 캔 향기 짙은 봄나물들입니다. 소문난 효소연구가 서미순님이 냉이와 민들레를 절여 항아리에 담고 있습니다. ![]() 또 다른 독에는 조그만 다발로 정성스럽게 묶은 취나물이 가지런히 담겼습니다. 건강하게 숨을 쉬는 옹기 속에서 맛있게 익어 갈 취나물 장아찌, 푸른빛이 싱그럽습니다. 절로 입맛이 돕니다. ![]() 이날 점심 식단에는 취나물 물김치가 나왔습니다. 한 젓가락 입에 넣으니 취나물의 깊고 쌉싸름한 향기가 입안에 가득 고이고 봄이 온 몸으로 스며듭니다. ![]() 곤드레 밥입니다. 하얀 쌀밥에 섞인 곤드레 나물... 소박하지만 아름다운 밥, 생명의 밥입니다. ![]() '옹달샘 카페'에서는 효소거르기가 시작 되었네요. 몇년 전부터 봄부터 여름까지 우리 땅에서 나는 열매와 과일 약초 등을 때맞추어 담아 두었던 것입니다. 솔순 효소를 거르는 카페지기 김부영님. ![]() 솔순효소는 지난 해 6월에 담아 여름과 가을 겨울을 났습니다. 효소전용 옹기 속에서 향기롭게 곰삭았네요. ![]() 으름효소. 으름은 작은 바나나처럼 생긴 우리나라 과일입니다. 이건 지난 9월에 담았던 것이랍니다. 으름효소는 고혈압에 좋고 항균과 항암작용을 한다고 하네요. ![]() 산머루효소입니다. 야생포도인 산머루는 깊고 진한 풍미를 가졌습니다. 산머루가 왜 피를 맑게 하는지, 저 싱싱하게 붉은 자주 빛을 보니 알 것 같습니다. ![]() 노박나무 열매 효소입니다. 작고 붉은 열매를 맺는 노박나무는 남사등 이라고도 불리지요. 차로도 다려먹고 약으로도 먹는 노박나무 열매는 부인병에 특효가 있다고 합니다. ![]() 아, 매실이네요. 온 국민이 사랑하는 건강음료지요. 매실효소는 '나눔의집'에서 조미료를 대신하는 식재료이기도 합니다. ![]() 이날 옹달샘에서 특별한 일이 있습니다. 걷기명상을 하고 내려오는 길에 생강나무 꽃을 따는 것이지요. 이맘때 옹달샘 뒷산은 생강나무 꽃이 지천으로 흐드러져 온 산에 향기가 가득합니다. 알싸한 생강냄새와 장미향을 섞어 놓은 것 같은 생강 꽃, 오늘 딴 꽃은 생강 꽃 효소와 생강꽃차의 향기로 다시 태어나는 것이지요. 보드랍게 내리는 봄비 속에 생강 꽃을 따며 즐거워하는 아침편지 가족들입니다. ![]() 생강나무 꽃을 따는 고도원님의 입가에도 미소가 가득합니다. ![]() 이날 딴 생강나무 꽃은 곧바로 효소로 만들었습니다. 싱싱한 생강나무 꽃에 일정량의 설탕을 넣어 버무리는 작업이네요. 이 꽃은 곧바로 항아리 안에 촛불을 켜서 미리 말려둔 소독한 옹기 안에 넣게 됩니다. ![]() 이 꽃들은 생강나무 꽃차가 되는 거군요. 폐속 깊숙이까지 쑥 들어오는 싱그럽고 짙은 생강 꽃향기... 아, 봄은 봄입니다. ![]() 카페에서 생강꽃차를 내왔네요. 저에게 '촬영하느라 고생했다'며 주신 카페지기님의 선물, 세상에서 가장 향기로운 선물입니다. ![]() 내친 김에 오늘 거른 효소들도 차로 만들었습니다. 노박나무 열매와 산머루 효소 차의 빛깔이 너무 곱지요? 뒤에 있는 병에는 오미자, 매실, 모과 효소 원액이 담겼습니다. 옹달샘 카페에 오시면 언제든 맛보실 수 있답니다. ![]() '나눔의집'과 '옹달샘 카페'에서 일하는 아침지기들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. 우리 몸을 살리는 밥상, 생명의 차를 만드는 사람들이지요. 봄, 여름, 가을, 겨울... 저 아름다운 장독대에서 장이 익고 장아찌가 익고 효소가 익어 가듯이 우리 모두의 옹달샘 사랑, 자연 사랑도 향기롭게 익어갈 것입니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