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]() |
글, 사진 : 조송희 |
![]() 교육부가 지정하는 '종합교육연수원'으로 정식 인가를 받은 '깊은산속 옹달샘'에서 전국의 유, 초, 중, 고교 교사 70명을 대상으로 하는 첫 교육연수(직무교육)가 시작 되었습니다. ![]() "선생님은 제자들의 발을 씻어주는 마음이 되어야 합니다. 티처를 넘어서서 힐러가 되어야 합니다." 고도원님의 특강 입니다. ![]() '치유 받은 교사가 치유자가 될 수 있다.' 고도원님의 열강이 어느 때보다 간절합니다. 지난 몇 년, 옹달샘을 거쳐 간 수많은 링컨학교 학생들과 단원고 학생들의 변화를 지켜보면서 치유자로서 교사의 역할을 절감했기 때문일 것입니다. ![]() 옹달샘에서는 매일새벽, '명상요가'를 합니다. '명상 요가'는 순수하게 몸의 움직임에 집중하는 것입니다. 손가락, 발가락, 목, 어깨, 허리... 내 몸 구석구석을 들여다보며 움직입니다. 굳어있던 근육이 풀리면서 뭉쳐있던 내 마음도 조금씩 풀어집니다. 몸과 마음이 결코 따로 있지 않음을 느끼는 순간입니다. 우리나라 선무도 최고수의 한 사람인 김재덕님이 지도하는 시간입니다. ![]() 바른 자세는 명상의 시작입니다. 뱃속까지 깊고 긴 호흡을 합니다. 호흡을 가만히 바라봅니다. 흔들리던 몸이 고요해집니다. 거칠던 마음이 순해집니다. ![]() 오랜 시간, 세상 속에서 참 고단했습니다. 어깨의 짐들은 너무 무겁고 숨겨둔 상처는 남모르게 아팠습니다. 이렇게 깊이 몸을 뉘어 본지가 언제인지 모르겠습니다. 이렇게 달고 편안한 휴식을 가져본지가 언제인지 모르겠습니다. ![]() 김무겸 선생님이 진행하는 '소리명상'시간입니다. ![]() '소리명상' 시간에는 내 몸이 커다란 울림통이 됩니다. 아, 오, 우, 이... 우렁차게 내지르는 소리가 온 몸의 장기를 울리고 흔들어 깨웁니다. 내 몸과 마음을 치유합니다. ![]() '통나무 명상'은 편백나무를 이용하는 휴식과 치유의 명상입니다. ![]() 하루 일과가 끝나는 저녁시간에는 '조별 워크숍'을 가집니다. 오늘의 주제는 '위기관리가 가능한 교사가 행복하다'. 교사로서 맞았던 위기의 순간을 어떻게 극복하고 관리했는지를 발표하고 토의하는 선생님들입니다. ![]() 윤나라 실장이 진행하는 '뇌마사지'시간입니다. 선생님들이 서로에게 '뇌마사지'를 합니다. 마사지를 하는 자와 받는 자가 모두 내 몸의 화와 내 마음의 상처까지 쓰다듬게 되는 신기한 경험을 합니다. ![]() ![]() "교사가 행복해야 학생도 행복할 수 있습니다." 임현식 교수의 특강 '교사의 마음공부'입니다. ![]() 연수기간에도 선생님들은 도서관에 가장 많은 관심을 보였습니다. 휴식 시간에 책을 보는 선생님들. ![]() ![]() 황수경 교수의 특강 '명상을 통한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효과' 시간에는 고도원님도 함께 했습니다. 대화로 소통하고 함께하는 명상을 통해 더 깊이 마음을 나누는 선생님들입니다. ![]() 강의 마지막에는 선생님들이 다함께 일어나서 포옹을 했습니다. 명상이 교육현장에서 얼마나 훌륭한 인성교육의 도구가 될 수 있는지를 확인한 순간입니다. 선생님들과 포옹하는 황수경 교수(위 사진)입니다. ![]() ![]() "자신의 감각과 감정에 귀기울이며 스스로를 조율할 수 있는 힘을 키우다보면, 어느새 건강하고 아름다운 '나'를 만날 수 있습니다." 아침지기 김민석님의 특강 '회복 탄력성을 높이는 교사'입니다. ![]() '춤명상 춤치유' 시간입니다. 오랫동안 춤추는 것을 잊고 살았습니다. 온몸으로 음악을 느끼는 것도 그 음악에 내 몸을 온전히 실어 보는 것도 얼마만인지 모르겠습니다. 춤추며 웃습니다. 웃음 끝에 눈물이 터져 나옵니다. 울면서 행복합니다. ![]() ![]() '걷기명상'시간, 흰 눈이 덮인 겨울 산에 올랐습니다. "깊은 호흡을 하십시오. 내면의 미소를 보내십시오. 가슴에서 배로 손끝, 발끝으로 보내십시오. 산의 숨소리, 새소리가 내 안에 깃들 것입니다." 고도원님의 목소리가 먼 산을 떠도는 바람소리 같습니다. ![]() ![]() 나에게 편지를 쓰는 시간입니다. 내 이름을 불러보는 시간, 나 자신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시간입니다. ![]() 다른 사람들 앞에서 내 이름으로 나를 말할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 일인지요. 오랫동안 불러주지 못한 내 이름이 이 순간은 별처럼 반짝이는 것 같습니다. ![]() ![]() 고도원님에게 묻는 ‘즉문즉답’ 시간입니다. "이 곳에서 어린 시절 외롭게 두었던 내 안의 나, 그동안 많이 서러웠던 내 안의 나를 만났습니다." "내 마음이 열리니 상대방의 순수한 마음이 보입니다." "내 안의 나와 만나 흘리는 눈물이 얼마나 큰 치유력을 가졌는지 절감합니다." 연수 기간에 느꼈던 소감과 감동을 말하는 선생님들입니다. ![]() 신 새벽부터 한밤중까지, 어느 때 보다 뜨겁게 보냈던 교육연수 '2박3일' 일정이 마무리 되었습니다. 선생님들은 이제 학교로 돌아갈 것입니다. '티처를 넘어 힐러가 되는 선생님' '깊은산속 옹달샘'과 선생님들이 함께 꾸는 꿈입니다. '사랑합니다. 감사합니다.' |